-
AI를 이용한 MIDI 학습나도 궁금해서 해봄 2024. 5. 18. 13:03반응형
정보 저장용입니다. 혹시나 필요하시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가사 제어:
- Lyrics (0x8C) 메시지: 가사 텍스트와 해당 가사가 표시될 시작 시간을 전달합니다.
- Time Signature (0xFF) 메시지: 현재 곡의 박자와 비트 단위를 나타냅니다. 이 정보는 가사 동기화에 중요합니다.
- Set Tempo (0xFF) 메시지: 곡의 재생 속도를 BPM 단위로 설정합니다. 이 정보는 가사 속도 조절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작곡가 주석:
- Text (0xFF) 메시지: 작곡가가 원하는 정보 (예: 악기 연주 지침, 특정 섹션 표시)를 포함하는 메시지입니다.
- Cue Point (0xFF) 메시지: 곡의 특정 지점을 표시하는 메시지입니다. 작곡가 주석을 특정 위치에 연결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활용 사례:
- 가사 노래방: MIDI 가사 메시지를 사용하여 화면에 가사를 동기적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가사를 따라 부르거나 가사 창에서 가사를 선택하여 특정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작곡 도구: MIDI 주석 메시지를 사용하여 악보에 주석을 추가하거나 작곡 과정에서 중요한 지점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협업 프로젝트 또는 개인 작곡 작업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
- 모든 노래방 애플리케이션과 작곡 도구가 MIDI 가사 및 주석 메시지를 지원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용하려는 소프트웨어가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MIDI 가사 및 주석 메시지 사용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MIDI 표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https://midi.org/midi-1-0
MIDI를 활용하여 가사 제어 및 작곡가 주석 기능을 구현하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작곡 프로세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음악에서 박자와 비트 단위는 곡의 흐름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마치 건물의 기본 골격과 벽돌처럼, 박자와 비트 단위는 음악의 구조와 리듬을 형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1. 박자란 무엇일까요?
박자는 음악의 기본적인 맥박을 의미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강약의 느낌을 말합니다. 마치 심장 박동처럼, 음악은 일정한 간격으로 강한 박자와 약한 박자가 번갈아 나타납니다. 이러한 박자의 반복은 청취자에게 안정감과 규칙성을 제공하며, 음악의 기본적인 틀을 형성합니다.
박자를 표기하는 방법:
- 박자 기호: 4/4, 3/4, 6/8 등과 같은 분수 형태로 표기됩니다.
- 분자는 한 마디에 몇 개의 박자가 있는지 나타냅니다.
- 분모는 기준 음표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예: 4/4는 한 마디에 4개의 4분음표가 있는 것을 의미)
- 박자 표: 악보 위에 수평으로 그어진 선으로, 박자의 간격을 나타냅니다.
2. 비트 단위란 무엇일까요?
비트 단위는 박자를 더 작은 단위로 나눈 것으로, 한 마디 안에서 실제로 연주되는 음符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즉, 박자가 맥박이라면, 비트 단위는 그 맥박 사이의 틱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비트 단위의 종류:
- 정음: 기본적인 음符 길이로, 4분음표, 8분음표, 16분음표 등이 있습니다.
- 연음: 두 개 이상의 음符를 하나로 연결하여 연주하는 표기법입니다.
- 쉼표: 음符가 없는 빈 공간을 나타냅니다.
3. 박자와 비트 단위의 상호 관계:
박자와 비트 단위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 마디 안에 포함된 비트 단위의 총 길이는 박자 기호에 표시된 기준 음符의 총 길이와 같습니다. 예를 들어, 4/4 박자의 경우 한 마디에는 4개의 4분음표가 포함되므로, 4개의 4분음표, 8개의 8분음표, 16개의 16분음표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4. 박자와 비트 단위가 음악에 미치는 영향:
박자와 비트 단위는 음악의 분위기와 느낌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빠른 박자와 작은 비트 단위: 흥분되고 활기찬 느낌을 줍니다.
- 느린 박자와 큰 비트 단위: 편안하고 여유로운 느낌을 줍니다.
- 규칙적인 박자: 안정감과 일체감을 줍니다.
- 불규칙적인 박자: 흥미와 긴장감을 줍니다.
또한, 작곡가는 박자와 비트 단위를 조절하여 다양한 리듬을 만들고 음악에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5. 곡의 박자와 비트 단위를 파악하는 방법:
- 악보 확인: 악보에는 박자 기호와 박자 표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곡의 박자와 비트 단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청각적 판단: 곡을 듣고 강한 박음과 약한 박음을 느껴보며 박자를 파악하고, 그 안에서 연주되는 음符의 길이를 통해 비트 단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메트로놈 활용: 메트로놈은 일정한 박자를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Midi 분석을 하던 도중 트랙의 값들이 있었다. 막연히 보면 무슨 내용인지 전혀 모르겠는데 역시 찾아보면 다 있다.
https://m.blog.naver.com/jhzec/60028275507
[ GM MIDI 128 가지 악기 설명]
오래전에, 어디서 얻은 자료입니다..Piano 계열피아노 계열은 곡 전체에 기본 악기로 쓰는 경우가 많다. ...
blog.naver.com
반응형'나도 궁금해서 해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n8n Self-Hosting 부터 Gemini AI와 함께하는 슬랙 봇 제작기! - (1) (1) 2025.02.08 내가 직접 해본 블로그 자동화 후기 (5) 2024.12.22 LLM을 개발환경에 적용한 좋은 예 (1) 2024.11.17 유튜브 자막 데이터를 모아서 뭘 해볼까? (23) 2024.11.13 Ollama + Python 을 이용해 데이터 분석 시작하기. (0) 2024.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