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편. n8n을 이용해 Groq을 이용해 슬랙봇에 메시지를 전달해보자!나도 궁금해서 해봄 2025. 2. 12. 09:00반응형
n8n Self-Hosting 부터 Groq AI와 함께하는 슬랙 봇 제작기! - (2)
이 글을 시리즈로 작성된 글입니다.
- 1편. 집에 굴러다니는 PC를 서버로 만들어보자!
- 2편. GeminiAI를 이용해 슬랙봇에 메시지를 전달해보자!
시작하기에 앞서 혹시나 이 글에서 Groq, Slack을 연동하는 과정이 궁금해서 찾아오셨다면 죄송하지만 이 포스팅에서는 그러한 내용을 얻어가실 수 없으실 것입니다. 이 포스팅은 그냥 이런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공유합니다. 1편에서 따라할 수 있는 방법을 최대한 간편하게 작성을 해봤는데 이쪽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 아니라면 쉽지 않으실 거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방향을 전환하오니 가볍게 읽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워크플로우 첫걸음!
Chat component 생성 모습 n8n은 워크플로우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머가 아니니까 나는 이런걸 할 수 없어!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예전부터 갤럭시는 빅스비 루틴이라는 것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워크플로우를 만든다는 건 결국 이 루틴을 만드는 것입니다. 유튜브에 많은 강좌가 있는데 주요 주제는 이런 겁니다.
이제 사람 말 좀 알아듣는 로봇이 생겼으니까, 일 좀 시켜보자.
단! 어려운 일은 못함. 쉬운 것만 가능!그래서 저도 해보려고 합니다. 얼마나 나의 일들을 간편하게 해줄 수 있는지 시작해보려는 거죠. 저는 슬랙을 통해 나와의 대화를 저장해보려고 합니다.
Gemini 말고 Groq으로 시작해보기!
구글의 Gemini도 무료긴 하지만 Groq도 무료인데다가 다양한 모델들을 지원해주고 있어 좋은 선택이란 생각에 이걸 먼저 사용해서 테스트를 진행해보기로 합니다.
Groq API limits 저 같이 많이 사용을 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쓰고도 남을 정도로 많은 양을 제공해줍니다. 혹시나 경량화된 모델을 사용해도 충분하신 분들이라면 Ollama를 이용해서 로컬 머신의 성능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간단하게 API키를 생성해준 뒤에는 n8n의 연결을 통해 간단하게 처리가 가능했습니다.
간단하게 구성해본 n8n 설정 Slack으로 메시지를 받은 화면 모든 것을 다 해본 후의 소감.
왜 모든 사람들이 n8n에 대해서 설명하고 유튜브로 영상을 찍는지 이유를 알겠다. 프로그래머들에게 요청해야만 가능했던 일들을 간단하게 컴포넌트만 연결하는 것으로 손쉽게 해결이 가능했다. 물론 아주 약간의 기술과 지식이 필요하지만 이 정도면 예전에 프로그래머들에게 외주를 주던 상황에 비하면 해볼만 하네! 라는 생각이 드실 것 같다. 다만 make와 비교하면 그 기능적 차이가 많이 난다고 느껴지진 않는다. 개인 사용자라면 n8n을 자체적으로 운영해보시길 권하면서 이만 글을 마치도록 하겠다.
에필로그
후일담을 안 쓸 수가 없다. 퇴근 후 오후 시간을 2개의 포스팅을 작성하기 위해 약 3일이라는 시간을 소요했다. 서버 구축을 위해서 microk8s를 사용하려고 했으나 실패하고 docker를 띄운 일이라던가, 결국 어제는 다시 셋팅하고 npm 환경을 구축했다던가. 외부 접속을 허용해서 SSL까지 붙이는데 성공했다거나 하는 일들이 있었다. 오늘 작성하는 이 글 역시 일종의 Hello world 같은 잘 도는지 확인하는 용도였는데 nginx 설정이 잘못되어 websocket proxy 작업이 필요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결국 간신히 처리했다. 하고나서 보니 몸도 마음도 방전이다.
반응형'나도 궁금해서 해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에서 HWP파일을 보고 싶을땐? (0) 2025.04.24 구글 위스크: 내가 만든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생성형 AI (0) 2025.02.12 n8n Self-Hosting 부터 Gemini AI와 함께하는 슬랙 봇 제작기! - (1) (1) 2025.02.08 내가 직접 해본 블로그 자동화 후기 (5) 2024.12.22 LLM을 개발환경에 적용한 좋은 예 (1) 2024.11.17